본문 바로가기

AVIATION/UAM UAV

드론 관련 자격증에 뭐가 있을까?

보통의 자격증이 그렇듯이 일단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

개인적으로 민간자격증 취득은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포스팅에서는 국가자격증만 살펴보겠습니다.

 

 

 

1. 초경량 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무게 12kg가 넘는 드론을 이용할때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자격증(드론 자격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만 14세 이상부터 응시 가능하며 필기시험 통과 후 비행 시간 20시간에 도달하면 실기시험에 응시 가능합니다.

 

제가 준비중인 과정입니다.

 

 

2. 초경량비행장치 지도조종자(교관)

초경량 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자격증을 가지고 계신 분 중에서 비행 시간이 100시간이 넘으신 분들이 신청가능합니다.

 

만 20세 이상부터 응시 가능하고 비행 100시간을 채운 후 2박 3일의 합숙교육 후 필기시험을 보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드론 교관으로 활동이 가능합니다.

 

 

3. 초경량비행장치 실기평가 지도조종자(교관)

지도 조종자 중에서 비행시간이 150시간 이상인 분들이 응시 가능합니다.

 

지도 조종자와 마찬가지로 만 20세 이상부터 응시가 가능합니다.

 

모든 실기 코스가 자세모드(Atti Mode)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을 마치면 교육원을 설립할 수 있습니다.

 

 

저는 초경량 비행장치 조종자 과정을 진행중이고 현재 14시간 정도 비행을 했습니다.

 

지금까지 교육이 어땠는지 블로그에 업로드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