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자격증이 그렇듯이 일단 크게 2가지로 나뉩니다.
국가자격증과 민간자격증
개인적으로 민간자격증 취득은 필요 없다고 생각합니다. 따라서 이 포스팅에서는 국가자격증만 살펴보겠습니다.
1. 초경량 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무게 12kg가 넘는 드론을 이용할때 초경량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자격증(드론 자격증)이 반드시 필요합니다.
만 14세 이상부터 응시 가능하며 필기시험 통과 후 비행 시간 20시간에 도달하면 실기시험에 응시 가능합니다.
제가 준비중인 과정입니다.
2. 초경량비행장치 지도조종자(교관)
초경량 비행장치 무인멀티콥터 조종자 자격증을 가지고 계신 분 중에서 비행 시간이 100시간이 넘으신 분들이 신청가능합니다.
만 20세 이상부터 응시 가능하고 비행 100시간을 채운 후 2박 3일의 합숙교육 후 필기시험을 보는 순서로 진행됩니다.
이 자격증을 취득하면 드론 교관으로 활동이 가능합니다.
3. 초경량비행장치 실기평가 지도조종자(교관)
지도 조종자 중에서 비행시간이 150시간 이상인 분들이 응시 가능합니다.
지도 조종자와 마찬가지로 만 20세 이상부터 응시가 가능합니다.
모든 실기 코스가 자세모드(Atti Mode)로 진행됩니다.
이 과정을 마치면 교육원을 설립할 수 있습니다.
저는 초경량 비행장치 조종자 과정을 진행중이고 현재 14시간 정도 비행을 했습니다.
지금까지 교육이 어땠는지 블로그에 업로드하겠습니다.
'AVIATION > UAM UA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경량비행장치, 멀티콥터(드론) 필기시험 후기 (0) | 2020.10.26 |
---|---|
드론 교육원 제대로 선택하기 (3) | 2020.10.18 |
드론 자격증(초경량비행장치 - 멀티콥터) 취득하기 (0) | 2020.10.18 |
국토부는 왜 도심항공교통(UAM)에 관심을 가질까? (0) | 2020.10.04 |
현대차, 한화가 관심 갖는 UAM, 과연 뭘까? (0) | 2020.10.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