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경량 무인멀티콥터 자격증, 즉 드론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드론 교육원에 등록 해야합니다.
인터넷에 검색해보면 수많은 교육원이 나오는데 그 중 어디를 골라야 할까요?
(순전히 제 개인적인 의견으로 글 작성합니다)
1. 위치(집에서 교육원까지 거리)
이 전 포스팅을 보시고 오시면 아시겠지만 드론 조종자 자격증을 취득하려면 비행시간이 20시간 필요합니다.
일반적으로 한번 교육에 15-20분 정도가 소요됩니다. 로그북 비행 시간 기록 기준으로 하면 대략 0.3시간이 나옵니다.
예시)
오전 9시부터 12시까지 교육을 한다고 가정하겠습니다. 그냥 간단히 생각하면 총 비행시간 3시간을 로그(기록)할 수 있을 거라고 생각합니다. 과연 현실은 어떨까요?
09:00 - 09:20 : 1차 비행(0.3시간)
5분간 휴식(초보일때는 몸에 힘이 들어가 생각보다 근육이 많이 뭉칩니다)
09:25 - 09:45 :2차 비행(0.3시간)
5분간 휴식
09:50 -10:10 : 3차 비행(0.3시간)
5분간 휴식
10:15 - 10:35 : 4차 비행(0.3시간)
5분간 휴식
10:40 - 11:00 : 5차 비행(0.3시간)
5분간 휴식
11:05 - 11:25 : 6차 비행(0.3시간)
5분간 휴식
11:30 - 11:50 : 7차 비행(0.3시간)
9시부터 교육을 시작해서 12시에 끝낼 경우 총 7번의 비행교육, 2.1시간을 로그북에 기록이 가능합니다.
비행시간을 24분(0.4시간)으로 늘리고 중간 휴식시간을 줄이면 3시간 동안 2.8시간까지 로그는 할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실제로 3시간 동안 교육원에 있어도 로그북에 비행 시간 기록은 그보다 적게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로그를 2시간 하고 싶으면 여유있게 3시간 정도를 예상해야하고, 3시간 로그는 4시간, 4시간 로그는 5시간은 예상해야 합니다.(점심시간이 걸리면 밥 먹는 시간 제외하고도 저 정도입니다.)
만약 다른 일 없이 드론 교육만 받으신다면 상관없지만 다른 일과 병행을 해서 시간을 쪼개야 하시는 분은 생각보다는 교육원을 더 많이 오게 될 겁니다.
따라서 최대한 집 혹은 직장과 가까운 교육원에 등록하시는게 유리합니다.
2. 필기교육
전문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으시면 필기시험이 면제 됩니다. 다만 학과수업을 들어야 합니다.
전문교육기관이 아닌 곳에서 교육을 받으시면 따로 필기시험을 준비해서 시험을 통과하셔야 합니다.
그러면 당연히 전문교육기관을 가야겠네요?
사람마다 다릅니다. 시험 준비를 따로 하기 싫고 학과교육 받으러 교육원을 가는게 귀찮지 않으시면 전문교육기관을 가셔서 학과시험면제를 받으시면 됩니다.
앉아서 수업 들으시는게 귀찮으신 분들은 그냥 준비해서 시험 보시면 됩니다.
시험이 문제은행식이고 시중에 있는 문제집과 답안까지 똑같이 나오는 시험이기 때문에 개인적으로는 그냥 따로 준비해서 시험 보는게 시간도 안아깝고 좋은 것 같습니다.
3. 가격
해당 교육원이 평이 너무 안좋거나 상담을 하러 갔는데 교관이 너무 불쾌하게 하는 것이 아니라면
그냥 수강료가 저렴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전문교육기관을 가지 않았다고 가정하면, 필기는 알아서 준비하고 실기를 도와주시는건데 교육원마다 운용하는 기체는 거의 비슷하고 관리도 정말 문제 있는 교육원이 아닌 이상 비행하기에는 문제 없기에 교육원 간에 차이점은 '교관'밖에 없습니다.
실기평가 항목이 엄청난 기동을 요구하는게 아니고 기본적인 것들을 요구하고 교관들도 어느 정도 표준화가 되어있다고 생각합니다.
교관이 정말 싸가지가 없고 불쾌하게 하는게 아니라면 저렴한 곳으로 가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 집에서 가깝고 저렴한 교육원을 찾으세요
'AVIATION > UAM UAV'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경량비행장치, 멀티콥터(드론) 실기시험 후기 (0) | 2020.11.24 |
---|---|
초경량비행장치, 멀티콥터(드론) 필기시험 후기 (0) | 2020.10.26 |
드론 관련 자격증에 뭐가 있을까? (0) | 2020.10.18 |
드론 자격증(초경량비행장치 - 멀티콥터) 취득하기 (0) | 2020.10.18 |
국토부는 왜 도심항공교통(UAM)에 관심을 가질까? (0) | 2020.10.04 |